사우디아라비아를 국빈 방문 중인 윤석열 대통령이 킹 사우드 대학교에서 '청년, 미래를 이끄는 혁신의 주인공'이라는 주제로 연설합니다. <br /> <br />윤 대통령은 양국의 특별한 동반자 관계를 설명하고, 변화와 혁신의 주체인 청년들의 역할을 강조할 예정인데요. <br /> <br />윤 대통령의 강연 현장, 생중계로 연결합니다. <br /> <br />[윤석열 / 대통령] <br />유스프 빈 압둘라 알-벤얀 사우디아라비아 교육부 장관님, 킹 사우드 대학교 바드란 알 오마르 총장님, 그리고 세계의 미래를 이끌어 갈 여러분, <br /> <br />사우디아라비아 최초의 대학인 킹 사우드 대학에서 여러분을 만나게 되어 기쁘게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외국 정상으로서는 처음으로 킹 사우드대학에서 연설을 하게 되어 영광스럽게 생각합니다. <br /> <br />저는 오늘 청년 여러분과 함께 사우디아라비아와 대한민국의 양국관계에 관해 이야기를 나누고자 합니다. <br /> <br />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가 수교한지는 61년이 되었지만, 두 나라의 교류의 역사는 천 년 이상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갑니다. <br /> <br />우리 두 나라는 인센스 로드라 불리는 길을 통해 교역을 해왔고, 신라 시대에는 해상을 통한 문화 교류가 이루어지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10세기 고려 시대에는 벽란도에서 아라비아를 포함한 많은 외국과 교류하였습니다. <br /> <br />이 즈음에, “꼬레” 또는 “코레아”라는 이름이 세계에 널리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아랍 지리학자 알 이드리시가 1154년 노르만 왕조의 로지에로 2세의 지원 하에 제작한 세계지도에는 유럽은 나오지 않는데 ‘알 신라(Al Shilla)'가 표기되어 있을 정도로 한국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교류 협력은 긴 역사를 가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민국은 1950년 공산세력의 침략을 받아 전쟁을 치렀으며, 아무것도 없는 폐허에서 ‘한강의 기적'이라고 불리는 놀랄만한 경제 발전을 이루었습니다. <br /> <br />대한민국의 이러한 성장은 국민의 교육에 대한 뜨거운 열정, 정부의 산업에 대한 전략적 투자, 그리고 국제사회와의 긴밀한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, 1970년대에 고속도로 건설 등 인프라 협력으로 맺어진 한국과 사우디의 특별한 동반자 관계는 한국 경제발전의 중요한 발판이 되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 원조를 받던 나라에서 원조를 주는 나라가 되었고, 교육 분야에서 올해 약 3천억원(약 2억5천만달러) 규모의 원조를 지원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아울러 대한민국은 반도체, 2차 전지, 인공지능과 같은 첨단 ... (중략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1_202310231718524670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